All Articles

[Study]IoC, DI, DIP 개념 잡기

IoC, DIP, DI 는 항상 혼동되는 개념이다. 각 개념을 서로 같다고 표현하는 글들도 제법 있고, 각 개념의 정의를 살펴보니 직관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았다. 요즘 특히 DI 에 대한 내용이 많이 언급되고 있다고 느끼는데 정작 주장하는 문맥이 조금씩 다르다보니 스스로 답답함을 느꼈다. 제대로된 논의를 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개념 정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각 개념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정리했다.

무엇이 다를까?

To be sure, using DI or IoC with DIP tends to be more expressive, powerful and domain-aligned, but they are about different dimensions, or forces, in an overall problem. DI is about wiring, IoC is about direction, and DIP is about shape.

결론부터 얘기하면 IoC, DIP, DI 는 모두 다른 개념이다. 각자 목적과 요구하는 바가 다르다. 하지만 서로를 배척하는 개념은 아니다. 오히려 함께 했을 때 강한 시너지가 생긴다.

Inversion of Control (IoC, 제어의 역전)

don’t call me, I’ll call you. - Hollywood principle

개인적으로 IoC 를 가장 직관적으로 잘 설명한 문장이라고 생각한다.

좀 더 개발 친화적인 용어로 풀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IoC 란 코드의 흐름을 제어하는 주체가 바뀌는 것이다.

코드의 흐름을 제어한다는 것은 여러 행위를 포함한다.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것, 오브젝트의 생명주기를 관리하는 것, 메소드를 수행하는 것 등. 그리고 일반적인 프로그램은 이러한 행위를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스스로 수행한다. (우리가 처음 만들었던 프로그램을 잘 생각해보자.) IoC 를 적용한다는 것은 이러한 흐름 제어를 또다른 제 3자가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안드로이드에서도 IoC 가 적용된 케이스를 볼 수 있다.

public class MyActivity extends AppCompatActivity {

    @Override
    protected void onResume() {
        super.onResume();
        // do something
    }

    @Override
    protected void onPause() {
        // do something
        super.onPause();
    }
}

우리가 Activity 코드를 작성할 때 생명주기 메소드가 호출되었을 때의 동작만 정의하고, 언제 생명주기 메소드를 호출 할지는 신경쓰지 않는다. 즉, Activity 의 메인 흐름 제어권은 나의 코드가 아니라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쥐고 있다.

누가 물어봤을 때 명확한 답변을 못했던 ‘프레임 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는 무엇인가?’ 에 대해 IoC 관점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라이브러리는 내 코드가 라이브러리를 이용한다. 즉, 제어권이 내 코드에 있다. 반면 프레임 워크는 프레임 워크가 나의 코드를 실행한다. 즉, 제어권은 프레임워크에게 있다.

Software frameworks, callbacks, schedulers, event loops, dependency injection, and the template method are examples of design patterns that follow the inversion of control principle

IoC 를 따르는 개념이 생각보다 많았다.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DIP, 의존관계 역전 법칙)

a. High-level modules should not depend on low-level modules. Both should depend on abstractions (e.g. interfaces). b. Abstractions should not depend on details. Details (concrete implementations) should depend on abstractions.

SOLID 원칙 중 하나이다. 의존관계에 대해 다루고 있는데 한번에 바로 이해될 수 있는 설명이 아니었다. 관련된 내용을 찾아보다가 좀 더 직관적으로 표현된 문장을 발견했다.

DIP is about the level of the abstraction in the messages sent from your code to the thing it is calling

DIP 가 주장하는 바의 핵심은 추상화에 의존하라는 것이다.

추상화가 아닌 구체클래스에 의존한 경우를 살펴보자.

public class FileLoader {
private TextFileParser textFileParser;

    public FileLoader() {
        // TextFile 이 아닌 csv 파일을 파싱해야할 경우 필연적으로 코드의 변경이 발생
        this.textFileParser = new TextFileParser();
    }

    public File parseFile(String serializedFile) {
        return textFileParser.parse(serializedFile);
    }
}

위와 같이 TextFileParser 에 변경이 발생했을 때 이를 의존하는 FileLoader 역시 변경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FileLoader 는 TextFile 외에 다른 File 을 파싱하기 위해서는 아예 Parser 클래스를 변경해야한다. 변경에 유연하지 않은 구조이다.

추상화에 의존할 경우를 살펴보자

public interface FileParser {
    File parse(String serializedFile);
}

public class TextFileParser implements FileParser {

    @override
    public File parse(String serializedFile) {
        // Do something
        return File();
    }
}

public class FileLoader {
    private FileParser fileParser;

    public FileLoader(FileParser fileParser) {
        this.fileParser = fileParser;
    }

    public File parseFile(String serializedFile) {
        return fileParser.parse(serializedFile);
    }
}

FileLoader 는 FileParser 인터페이스에 의존하기에 FileParser 의 구현체인 TextFileParser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FilePars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구현체라면 무엇이든 FileLoader 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즉, 다형성을 활용하여 변경에 유연한 구조가 된다.

Dependency Injection (DI, 의존성 주입)

DI is about how one object acquires a dependency

DI 는 필요로 하는 오브젝트를 스스로 생성하는 것이 아닌 외부로 부터 주입받는 기법을 의미한다. 마틴 파울러의 글에 따르면 3가지 타입으로 정의할 수 있다.

Constructor Injection

생성자를 통해 주입하는 방식이다. 인스턴스가 생성되었을 때 의존성이 존재하는 것이 보장되기 때문에 의존성의 존재여부가 보장되고 의존성을 immutable 하게 정의할 수 있다. 스프링에서도 해당 방식을 권장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public class FileLoader {
    private FileParser fileParser;

    public FIilLoader(FileParser fileParser) {
        this.fileParser = fileParser;
    }
}

Setter Injection

Setter 메소드를 이용하여 주입하는 방식이다. 해당 방식은 Construcor Injection 보다 좀 더 주의를 요한다. 주입 받는 의존성의 기본값을 정의할 수 있지 않다면 null 값이 존재할 수 있는 이슈가 있기 때문이다. 의존성이 다시 주입되어야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된다고 하나 나는 아직 그러한 상황을 겪지 못했고 모두 Construcor Injection 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public class FileLoader {
    private FileParser fileParser;

    public void setFIilLoader(FileParser fileParser) {
        this.fileParser = fileParser;
    }
}

Interface Injection

Interface 로 주입받는 메소드를 정의한다. 이 방식은 이번에 조사하면서 처음 알게 되었고 실제로 사용해본 적이 없어 자세히 적기는 조심스럽다. 예시를 봐도 이점이 명확하게 보이지 않아 좀 더 공부를 하고 내용을 채워보려 한다.

각 개념 간의 관계

IoC 와 DI

종종 IoC 와 Dependency Injection 은 서로 interchangeably 한 것, 더 나아가 아예 같은 것처럼 표현하는 글이 보이곤 하는데 이는 잘못된 해석이라고 생각한다. Dependency Injection 은 IoC 개념이 적용된 결과물 중 하나일 뿐이다. 의존성을 주입한다는 것을 IoC 적인 행위로 바라볼 수 는 있지만 IoC 가 곧 의존성 주입이라고 보기 는 어렵기 때문이다.

DIP 와 DI

단어가 비슷해보이는 DIP 와 DI 역시 같은 개념으로 오해하기 쉽다. 하지만 마찬가지로 DI 는 DIP 를 구현하는 기법중 하나일 뿐 서로 같은 개념이 아니다. 위 DIP 예제 코드에서도 DI 가 이용되었다.

DIP 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을 때, 아래와 같은 코드도 DIP 를 만족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public interface FileParser {
    File parse(String serializedFile);
}

public class TextFileParser implements FileParser {

    @override
    public File parse(String serializedFile) {
        // Do something
        return File();
    }
}

public class FileLoader {
    private FileParser fileParser;

    public FileLoader() {
        this.fileParser = new TextFileParser();
    }

    public File parseFile(String serializedFile) {
        return fileParser.parse(serializedFile);
    }
}

하지만 해당 코드에서는 FileParser 를 다른 구현체로 바꿀 수 없다. 사실상 타입만 인터페이스로 했을 뿐 다형성의 이점을 전혀 살리지 못하는 코드이며 DIP 를 만족한다고 보기 어렵다.

또 다른 예시를 살펴보자. 이 코드도 조금 아쉬운 점이 있다.

public class FileLoader {
    private TextFileParser textFileParser;

    public FileLoader(TextFileParser textFileParser) {
        this.textFileParser = textFileParser;
    }

    public File parseFile(String serializedFile) {
        return textFileParser.parse(serializedFile);
    }
}

해당 코드는 TextFileParser 를 주입 받으므로 DI 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TextFileParser 의 생성자에 변경이 생기더라도 FileLoader 에 전파되지 않는 것은 긍정적인 부분이다. 하지만 DIP 는 지켜지지 않았다. 구체 클래스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다른 FileParser 로 교체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TextFileParser 의 변경에 FileLoader 가 영향을 받게 된다.

위 예시들이 시사하는 바는 DIP 와 DI 는 서로 조합되었을 때 시너지를 발휘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보통 한쪽 개념의 예시를 들 때 다른 쪽 개념이 같이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두 개념을 같다고 이해 할 법도 하다.

개념의 본질을 이해, 착각하지 말기

이러한 개념들을 정리하고 나면 내가 좀 더 개발을 잘하게 되었다는 착각에 종종 빠지곤 한다. 개념은 개념일 뿐이다.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리소스를 줄여주고 코드 그것이 곧 개발력과는 연결되지 않는 다고 본다. 중요한 것은 각 개념 속에서 추구하는 본질이 무엇인지 깨닫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개념들에 대해 정확히 정리하고 이해하는 과정은 꼭 필요하다. 내가 당장 이러한 것들을 지키지 못하더라도 어떤것이 충족되지 않는지 인식하고, 고쳐나갈 수 있는 기준을 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엇을 모르는지 모르는 것과 무엇을 모르는지 아는 것의 차이는 매우 크다.

Reference

https://justhackem.wordpress.com/2016/05/14/inversion-of-control/

https://www.martinfowler.com/articles/injection.html

https://martinfowler.com/articles/dipInTheWild.html

https://dzone.com/articles/ioc-vs-di

https://docs.spring.io/spring/docs/current/spring-framework-reference/core.html#beans

https://www.codeproject.com/Articles/592372/Dependency-Injection-DI-vs-Inversion-of-Control-IO

https://medium.com/@ivorobioff/dependency-injection-vs-service-locator-2bb8484c2e20